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 {
printf("Hello World\n");
return 0;
}
#include : 전처리기 지시문
컴파일 : C언어로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하는 컴파일러
컴파일에 필요한 것들을 알려주기 위해 전처리기 지시문을 사용함.
#include 는 지정한 파일을 코드에 포함하라는 뜻
stdio.h : 헤더 파일.
확장자가 h 로 다른 파일에 정의된 상수나 변수, 함수 등을 사용하기 위해 만듦.
printf() , scanf() 등이 선언되어 있음
int main(void) {} : main() 함수는 모든 프로그램의 시작점.
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전처리기 지시문을 제외하고 가장 먼저 실행됨.
int 는 main 함수가 반환하는 값의 자료형.
소괄호 안의 void 는 함수가 전달받는 값
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 {
int age = 20; // 변수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
printf("%d\n", age);
return 0;
}
등호 : 대입 연산자.
값을 저장한다.
변수 선언 : 프로그래밍에서 값을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가 기억해야 하는 값들이 있음.
값을 기억하는 역할은 컴퓨터의 메모리가 함.
변수를 만들면 컴퓨터는 값을 저장하겠다는 신호로 알고 메모리에 변수명으로 공간을 할당함.
이 과정을 변수 선언이라고 함.
초기화 : 변수를 선언하고 나면 메모리에 변수명으로 된 공간이 생긴다. 여기에 대입 연산자를 사용해 변수에 값을 넣어 저장함. 처음 넣는 이 값을 초깃값이라고 함.